디모데후서 3장 1-17
1. 너는 이것을 알라 말세에 고통하는 때가 이르러
2. 사람들이 자기를 사랑하며 돈을 사랑하며 자랑하며 교만하며 비방하며 부모를 거역하며 감사하지 아니하며 거룩하지 아니하며
3. 무정하며 원통함을 풀지 아니하며 모함하며 절제하지 못하며 사나우며 선한 것을 좋아하지 아니하며
4. 배신하며 조급하며 자만하며 쾌락을 사랑하기를 하나님 사랑하는 것보다 더하며
5. 경건의 모양은 있으나 경건의 능력은 부인하니 이 같은 자들에게서 네가 돌아서라
6. 그들 중에 남의 집에 가만히 들어가 어리석은 여자를 유인하는 자들이 있으니 그 여자는 죄를 중히 지고 여러 가지 욕심에 끌린 바 되어
7. 항상 배우나 끝내 진리의 지식에 이를 수 없느니라
8. 얀네와 얌브레가 모세를 대적한 것 같이 그들도 진리를 대적하니 이 사람들은 그 마음이 부패한 자요 믿음에 관하여는 버림받은 자들이라
9. 그러나 그들이 더 나아가지 못할 것은 저 두 사람이 된 것과 같이 그들의 어리석음이 드러날 것임이라
10. 나의 교훈과 행실과 의향과 믿음과 오래 참음과 사랑과 인내와
11. 박해를 받음과 고난과 또한 안디옥과 이고니온과 루스드라에서 당한 일과 어떠한 박해를 받은 것을 네가 과연 보고 알았거니와 주께서 이 모든 것 가운데서 나를 건지셨느니라
12. 무릇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경건하게 살고자 하는 자는 박해를 받으리라
13. 악한 사람들과 속이는 자들은 더욱 악하여져서 속이기도 하고 속기도 하나니
14. 그러나 너는 배우고 확신한 일에 거하라 너는 네가 누구에게서 배운 것을 알며
15. 또 어려서부터 성경을 알았나니 성경은 능히 너로 하여금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믿음으로 말미암아 구원에 이르는 지혜가 있게 하느니라
16. 모든 성경은 하나님의 감동으로 된 것으로 교훈과 책망과 바르게 함과 의로 교육하기에 유익하니
17. 이는 하나님의 사람으로 온전하게 하며 모든 선한 일을 행할 능력을 갖추게 하려 함이라
1. 분별하라
바울은 디모데에게 시대의 특징을 알려주고, 그런 시대에 복음의 일꾼으로서 자신과 성도를 지키기 위해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가르쳐줍니다. 바울은 디모데의 약함 (1:7)만 아니라 그가 상대해야 할 '시대의 악함'에 대해서도 '분별하라'(알라)고 당부합니다. 바울이 언급한 시대의 특징을 살펴보면, 지금 우리 시대와 별반 차이가 없습니다. 사도의 경종 역시 오늘 우리에게 적시합니다. 시대를 분별하지 못하면 쉽게 동화되고 세상을 변화시키기는커녕 세상에 포박되고 말 것입니다. 1절 말세의 특징은 '고통'입니다. 이것은 죄와 사탄에 매여 고통을 자초하는 모든 인류의 과제이자, 동시대를 살지만 그 시대를 거스르는 성도가 겪을 몫이기도 합니다. 더 나아가 그 시대를 바라보는 사도의 고통스러운 심정이자, 사랑하는 디모데가 품길 바라는 마음이기도 합니다. 이런 수고 없이 진정한 섬김과 사역, 전도와 선교는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2-4절 말세가 고통의 시대로 전락한 것은 '자기만 아는' 사랑 때문이고, '자기만 옳다'는 교만 때문입니다. 무엇보다 자아로 하나님을 대체하고 욕망으로 진리를 대신한 결과입니다. 이것들로 인해 하나님이 사람에게 주신 본능적인 사랑마저 파괴되어 버렸고 하나님 보시기에 심히 좋은 세상이 보기 흉한 세상으로 일그러지고 말았습니다. 이기심과 교만은 파괴적인 죄입니다.
2. 돌아서라
5,9절 세상의 고통을 가중시키는 또 하나의 원인은 종교인들의 위선입니다. 고백만 들으면 신앙인으로 손색이 없지만 삶을 보면 무실론자와 다름없는 그들의 위선입니다. 문제는 경건의 모양을 갖추었기에 좀처럼 신앙의 진위를 가려내기가 쉽지 않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 그 실상이 드러나기 마련입니다. 더 늦기 전에 위선적인 신앙에서 돌이키고, 그런 자들에게서 돌아서야 합니다. 6-9절 단호히 '돌아서지 못하면'(5절) 거짓과 욕심에 미혹되다가 진리의 지식에 이르지 못할 뿐 아니라 심지어 진리를 대적하는 편에 설 수 있습니다. 복음의 요구대로 자기 중심성을 버리지 못하면 회심하지 못한 구도자로 머물거나 자기 확신이 강한 위선자가 될 뿐입니다. 이어서 바울은 위선적인 삶과 대조되는 경건한 삶을 제시합니다. 먼저 디모데도 알고 있는 자신의 삶을 상기시키고, 그에게 성경의 진리 안에 거하라고 권면합니다. 10,11절 바울이 열거한 교훈과 행실, 의향, 믿음, 오래 참음, 사랑, 인내, 박해받음, 고난은 숱한 박해 속에서도 그가 진리를 따라 살면서 보여준 삶의 모범들입니다. 십자가의 도를 뒤따른 행적이자, 거짓된 사람들이 결코 따라 할 수 없는 참 신앙의 모본입니다. 교만과 욕심과 위선과 이기적인 삶과 대조되는 모범들은 진리가 우리를 어떤 사람으로 빚어 가는 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3. 배우고 확신한 일에 거하라
이 세대를 본받지 않고 복음의 진리를 따라 산 대가는 수치와 패배처럼 보이는 '박해'였습니다. 이는 매여 있는 바울에게서 또 주를 따르고 주의 나라를 소망할수록 '자아'가 왕 노릇 하는 세상에서 사는 것이 불편하고 힘겨운 우리 삶 속에서 지속적으로 확인될 것입니다. 13,14절 거짓에 거짓을, 악에 악을 더하는 세대 속에서 경건하게 살 수 있는 능력은 성경을 통해 배우고 확신한 진리 안에 거하는 것입니다. 가짜에 대처하는 길은 진짜를 붙드는 것입니다. 그 진리는 바울을 살리고 바울의 삶을 변화시킨 말씀이고, 모진 박해 속에서도 바울을 지켜준 말씀입니다. 흔들리지 않기 위해 의심 없이 말씀을 굳게 붙잡아야 합니다. 그러면 내가 붙들고 지킨 그 진리가 나를 지켜줄 것이고 캄캄한 밤 속에서도 길을 잃지 않을 것입니다. 나는 누구에게 그 진리를 배웠고 누구에게 그 진리를 가르쳐 이 세대를 이기도록 도와야 할지 생각해야 합니다. 15-17절 구원은 아직 끝나지 않았습니다. (구원에 이르는) 성경이 기준이 되고 길잡이가 되어주지 않으면 믿음의 순례를 마칠 수 없고 악하고 어두운 세상을 이길 수 없으며 하나님의 사람으로 온전해질 수 없습니다. 성경은 우리가 믿고 따르는 분이 누구인지 알려주고 바른 것을 믿을 수 있도록 가르쳐주며 바른 삶을 살도록 인도해 줍니다. 하나님의 감동으로 된 것이니 믿을 만합니다. 말씀에서 떠나면 우리 자신을 제대로 볼 수 없고 믿음에서도 떠나게 되며 구원에서도 멀어지게 됩니다. 말씀이 모든 것보다 앞서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성경의 교훈과 책망과 바르게 함과 의로 교육함을 내 것으로 삼고 살아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