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누가복음 10장 25-42절
1. 율법사의 시험
25. 어떤 율법교사가 일어나 예수를 시험하여 이르되 선생님 내가 무엇을 하여야 영생을 얻으리이까
26. 예수께서 이르시되 율법에 무엇이라 기록되었으며 네가 어떻게 읽느냐
27. 대답하여 이르되 네 마음을 다하며 목숨을 다하며 힘을 다하며 뜻을 다하여 주 너의 하나님을 사랑하고 또한 네 이웃을 네 자신 같이 사랑하라 하였나이다
28. 예수께서 이르시되 네 대답이 옳도다 이를 행하라 그러면 살리라 하시니
예수님은 자신을 시험하는 율법사에게 영생의 길인 이웃 사랑의 참된 의미를 가르쳐 주십니다. 마리아와 마르다의 이야기는 하나님 사랑이 무엇인지를 보여줍니다. 25-28절 예수님은 정답을 이야기하는 율법사에게 그 정답대로 "행하라" 하십니다. 율법사는 율법이 말하는 영생의 길을 지식적으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삶이 없는 앎은 생명을 살리지 못합니다. 율법사는 살고 있다고 착각했지만, 삶이 되지 않는 그의 앎은 진정한 앎이 아닙니다. 하나님이자 동료 유대인인 예수님을 시험하면서도 하나님 사랑과 이웃 사랑을 말하는 것만 봐도 알 수 있습니다. 율법사처럼 많이 알고 있고 또 타인에게 신앙의 삶을 추구하는 자리에 있을수록 더욱 자신을 살펴야 합니다. 사랑의 하나님 아버지, 저는 어떤 사람에게는 이웃사랑이 되지만 또 어떤 사람에게는 실천이 되지 않습니다. 저를 사랑하는 사람만 사랑하지 않고 저에게 관심 가지지 않았던 사람들도 이웃으로 섬길 수 있는 주님의 마음을 갖게 하옵소서.
2. 선한 사마리아인
29. 그 사람이 자기를 옳게 보이려고 예수께 여짜오되 그러면 내 이웃이 누구니이까
30. 예수께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어떤 사람이 예루살렘에서 여리고로 내려가다가 강도를 만나매 강도들이 그 옷을 벗기고 때려 거의 죽은 것을 버리고 갔더라
31. 마침 한 제사장이 그 길로 내려가다가 그를 보고 피하여 지나가고
32. 또 이와 같이 한 레위인도 그 곳에 이르러 그를 보고 피하여 지나가되
33. 어떤 사마리아 사람은 여행하는 중 거기 이르러 그를 보고 불쌍히 여겨
34. 가까이 가서 기름과 포도주를 그 상처에 붓고 싸매고 자기 짐승에 태워 주막으로 데리고 가서 돌보아 주니라
35. 그 이튿날 그가 주막 주인에게 데나리온 둘을 내어 주며 이르되 이 사람을 돌보아 주라 비용이 더 들면 내가 돌아올 때에 갚으리라 하였으니
36. 네 생각에는 이 세 사람 중에 누가 강도 만난 자의 이웃이 되겠느냐
37. 이르되 자비를 베푼 자니이다 예수께서 이르시되 가서 너도 이와 같이 하라 하시니라
"내 이웃이 누구이니까?" 라는 질문에 "누가 그의 이웃이 되느야?" 라고 답하십니다. 내가 어느 사람까지를 이웃으로 '받아들일지'의 문제를, 내가 먼저 이웃이 '되는' 문제로 전환하십니다. 유대인에게 이웃 사랑은 부정한 이방인과의 접촉을 피하고 유대 민족만을 이웃으로 받아들여 교제하는 일입니다. 비유 속 제사장과 레위인이 벌거벗고 있어 신분의 식별이 불가능한 사람을 함부로 받아들이지 않고, 시체와의 접촉으로 부정이 전염되지 않도록 죽었을지도 모르는 사람을 얼른 이웃의 범위에서 배제한 것이 유대인의 이웃사랑입니다.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는 바로 이 개념을 뒤엎었습니다. 사마리아인은 쓰러져 있는 사람이 자기 민족을 경멸하던 유대인인지 아닌지 식별하지 않습니다. 사마리아 사람에게 그는 그저 '강도 만난 자' 일 뿐입니다. 조건 없이 먼저 이웃이 되어 도와야 할 사람일 뿐입니다. 이웃 사랑은 '그리스도인'의 특권을 지닌 내 사랑을 받을 만한 사람이 누구인지 따지는 일이 아니라, 내가 이웃으로 인정받는 일입니다.
3. 마르다와 마리아
38. 그들이 길 갈 때에 예수께서 한 마을에 들어가시매 마르다라 이름하는 한 여자가 자기 집으로 영접하더라
39. 그에게 마리아라 하는 동생이 있어 주의 발치에 앉아 그의 말씀을 듣더니
40. 마르다는 준비하는 일이 많아 마음이 분주한지라 예수께 나아가 이르되 주여 내 동생이 나 혼자 일하게 두는 것을 생각하지 아니하시나이까 그를 명하사 나를 도와주라 하소서
41. 주께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마르다야 마르다야 네가 많은 일로 염려하고 근심하나
42. 몇 가지만 하든지 혹은 한 가지만이라도 족하니라 마리아는 이 좋은 편을 택하였으니 빼앗기지 아니하리라 하시니라
38-42절 예수님은 예수님 가까이서 교제하며 말씀을 듣는 특권을 어느 누구에게도 제한하지 않으십니다. 랍비를 집에 초대하면 남성들은 함께 비스듬히 누워 식사하며 가르침을 받았고, 여성들은 음식을 준비했습니다. 하지만 예수님은 여성들도 남성들과 똑같이 자기 발치에 앉아 말씀을 나누는 파격의 시대를 여십니다. 마리아는 새 시대에 주어진 가장 좋은 특권을 선택하고 있습니다. 예수님과 그분의 말씀 앞에 나아가는 일에 있어서는 그 누구도 차별받거나 소외되지 않아야 합니다.
찬송가 220장 1절 사랑하는 주님 앞에 형제자매 한 자리에 크신 은혜 생각하며 즐거운 찬송 부르네 내주예수 본을 받아 모든 사람 내 몸같이 환난근심 위로하고 진심으로 사랑하세 2절 사랑하는 주님 앞에 온갖 충성 다 받쳐서 괴로우나 즐거우나 주님만 힘써 섬기네 우리 주님 거룩한 손 제자들의 발을 씻어 남 섬기는 종의 도를 몸소행해 보이셨네 3절 사랑하는 주님예수 같은 주로 섬기나니 한 피 받아 한 몸 이룬 형제여 친구들이여 한 몸같이 친밀하고 마음으로 하나 되어 우리 주님 크신 뜻을 지성으로 준행하세.